소아 소화기 클리닉
소아비만이란
소아 청소년 비만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이 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인데, 소아 청소년 비만이 나타나는 시기는 주로 만 1세 미만의 영아, 만 5~6세, 사춘기 시기
이며, 6세 비만아의 25%, 12세 비만아의 75%가 성인 비만으로 진행합니다. 성인이 살이 찐다는 것은 개개의 지방세포가 커지는 것이므로 체중을 감량하면 지방세포의 크기가 작아
져 날씬해지는 반면, 성장과정의 아이들에서는 체지방이 증가하면 지방세포의 숫자가 증가하므로 체중을 감량해도 지방세포가 증가된 경우는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비만한 아이들은 한살이라도 어려서부터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바로잡아 주어서 지방세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소아 청소년 비만의 원인
단순성 비만 |
소아 청소년 비만의 99%를 차지합니다. 영유아기 또는 소아 청소년 시기부터 비만하면서 또래 보다 큰 경우가 많으며, 지능 저하는 없으며 성장 속도는 정상입니다. 원인으로는 유전적 원인(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행동적 원인(비활동적인성향이 있다.) 환경적 원인(운동 시간의 부족, 과다한 음식 섭취 등)이 있습니다. |
---|---|
증후성 비만 | 소아 청소년 비만의 1%를 차지합니다. 원인질환이 있으며, 키가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가족력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지능 저하가 동반된 경우가 있습니다. 뇌손상, 염색체 이상 질환, 성장호르몬 결핍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쿠싱 증후군,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 사용 등이 원인이 됩니다. |
소아 청소년 비만 진단법
소아 청소년 비만의 치료방법
비만 치료의 3가지 원칙은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입니다. 약물 치료는 극히 제한적이며, 비만은 누적된 생활습관의 결과이므로 식사일기/운동일기 쓰기가 중요하며,
평상시 가족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
- 1. 식 이 요 법
- 소아기에는 성장을 하고 있으므로 성장에 필요한 영양섭취는 가능한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되 고영양, 저열량식, 하루 세 끼 식사를 기본으로 합니다. 비만의 원인이 되는 식습관을 제공하고 있다면 가족의 식습관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
- 2. 운 동 요 법
- 충분한 영양섭취에 따라 운동량을 늘려 체중을 조절하는것이 중요합니다. 가족의 분위기를 활동적으로 바꾸며, 꾸준하고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가집니다.
-
- 3. 행동수정요법
- 갑작스러운 체중감량보다는 생활습관을 바꾸어 몸이 적응하도록 합니다.